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tomic Design 패턴으로 페이지 만들기
- docker
- 예제
- 백엔드
- 자동화
- redis
- 개발
- aws
- Infra
- methodreference
- styled-components
- 소켓IO
- deployment
- 롱 폴링
- GHCR
- 스타일 컴포넌트
- 배포
- 캐시
- react
- 디렉토리이동
- 배포자동화
- 인프라
- backend
- 도커
- Kubernetes
- git-hooks
- 리액트
- 쿠버네티스
- yarn-berry
- Atomic Design
- Today
- Total
목록Kubernetes (8)
SLASH 기술 블로그

1. How to containerize your app - 앱을 컨테이너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2. Running on Kubernetes Cluster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이미지 실행하기 3. Exposing the service - 서비스를 외부에 공개하기 4. Simplifying deployment process - 배포 과정 단순화하기 이전의 글들이 앱을 성공적으로 배포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앞으로는 이러한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것에 초점을 둘 것이다. 첫 번째로 배포하는 과정을 단순하게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보자. 문제 인식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앱을 배포하기 위해서는 개발한 코드를 도커 이미지로 만든 다음 ECR과 같은 이미지 레지스트리에 업로드해야 한다..

기존에 AWS의 Elastic Beanstalk을 사용하다 쿠버네티스를 쓰게 되면서 자동 배포가 어려워졌다. Skaffold 같은 개발 도구를 사용해서 여러 과정을 단순하게 압축시킬 수는 있었지만, 이전처럼 푸시할 때 알아서 배포되는 형태가 아니라 내가 직접 호출해야 하는 방식이라 귀찮은 부분이 있었다. 더구나 브랜치에 따라 서로 다른 환경으로 푸시해야 했기에, 실수로 개발 중이던 코드를 프로덕션으로 배포하는 일이 생길지도 모르는 상황이었다. 아직 CI/CD를 도입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 어떻게 하면 배포를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한 결과, 간단하게 Git Hook을 사용하면 되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번 글에서는 Git의 훅을 소개하고 몇 가지 사례를 이야기해볼까 ..

헬름은 쿠버네티스, etcd와 같은 CNCF Graduated Projects 중 하나로, 쿠버네티스의 패키지 매니저이다. 패키지? npm이나 Homebrew같은 것이라면 익숙하지만 쿠버네티스에서 관리할 패키지가 있나? 쿠버네티스에서 "패키지"가 존재한다는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Helm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면서, 쿠버네티스의 패키지 개념을 파악해보자! 배경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사용하다보면 관리해야 할 오브젝트가 무척이나 많다.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배포를 하기 위해서는 Deployment, ConfigMap, Service 등의 리소스가 하나로 묶여야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ConfigMap의 환경 변수나 Deployment의 레플리카 수를 조절해야 할 수도 있다. (개발 환경에..

1. How to containerize your app - 앱을 컨테이너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2. Running on Kubernetes Cluster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이미지 실행하기 3. Exposing the service - 서비스를 외부에 공개하기 4. Simplifying deployment process - 배포 과정 단순화하기 이전 글에서 포트포워드와 NodePort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를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그러나 실제로 서비스를 할 때는 여러 서버가 있을 때 파드 간의 부하를 분산하거나 한 파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해서 다른 파드로 라우팅시키는 로드 밸런싱이 필요하기도 하고, 하나의 도메인에서 path에 따라 서로 다른 서..

1. How to containerize your app - 앱을 컨테이너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2. Running on Kubernetes Cluster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이미지 실행하기 3. Exposing the service - 서비스를 외부에 공개하기 4. Simplifying deployment process - 배포 과정 단순화하기 이전 글에서는 작업하던 앱을 컨테이너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미지를 만들었으니 도커가 지원되는 환경이라면 어디서든 배포를 할 수 있다. 이제 그 다음 단계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이미지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이전에 docker build / docker run 명령어를 통해서 실행했던 것과 조금 달라진 부분들(환경 변수 설정 등..